- 트럼프, “모든 수입 재화 관세 10% 부과하겠다” 공약
- 옐런, “소비자 의존하는 재화 비용 늘어나 부담”
- 미 싱크탱크, “무역 상대국들의 보복성 관세 피할 길 없어” 우려
최종 공약은 경선이 마무리되고 정리되는 내용을 확인해야겠지만 경선 중인 현시점에서 가장 뜨거운 화두는 트럼프의 관세 10% 공약입니다.
모든 수입 재화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인데요.
라보뱅크 글로벌 분석가 마이클 에브리는 해당 공약을 놓고 “자산 계층을 가리지 않고 영향을 끼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재무부 장관 옐런은 이달 초 이런 공약이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이 의존하고 있는 상당히 광범위한 재화에 대한 비용이 늘어나는 결과를 낳을 것”으로 우려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발언에 이어서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적절할 수도 있다는 평가를 덧붙이기도 했습니다.
CNBC는 해당 공약에 대한 비판이 당파를 가리지 않고 쏟아진다고 보도했습니다.
우선 택스 파운데이션 씽크탱크가 내놓은 분석을 인용하며 “미 소비자 세수를 연간 3천억 달러 늘리는 효과를 보겠지만 무역 상대국들의 보복성 관세를 피할 길이 없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서 미 중도우파 액션 포럼이 내놓은 추정치를 인용하며 “상대국 보복성 관세로 미 GDP의 0.31%, 620억 달러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비자 후생은 1,233억 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했습니다.
관세 10% 발언은 작년 8월 있었던 폭스 비즈니스 인터뷰 과정에서 본격적으로 등장했습니다.